(에듀온라이프뉴스)서옥성=저출생·고령화의 영향으로 2029년부터 국내 취업자 수가 감소할 전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23~2033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대한민국이 장기 경제성장률(1.9%)을 유지하려면 2033년까지 82만 명의 추가 노동력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청년·여성·고령자·외국인 등 노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고용정보원은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을 적극 유입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청년층의 경우 산업별 맞춤형 직업훈련 및 취업 지원이 확대돼야 하며, 여성층은 육아휴직 확대 및 유연근무제 활성화가 필요하다. 고령층을 대상으로는 임금체계 개편을 통한 계속고용 기반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특정 업종에 외국인 노동력을 적극 유입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특히 기계·ICT 제조·전문과학·정보통신 등 기술 기반 산업에서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맞춘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고령화 및 돌봄 수요 증가로 인해 보건·사회복지업종에서는 총 98만 2,000명(보건업 22만 2,000명, 사회복지업 76만 명)의 취업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공행정(8만 9,000명) △출판업(6만 9,000명) △연구개발업(3만 6,000명) 등에서도 취업자가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온라인 쇼핑 활성화로 인해 소매업 취업자는 26만 4,000명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음식·주점업(-10만 5,000명) △도매 및 상품중개업(-10만 3,000명) △종합건설업(-9만 6,000명) △농업(-8만 7,000명) 등 전통 산업에서도 취업자 수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029년부터 본격적인 취업자 감소가 예상되는 만큼, 노동력 확보를 위한 선제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청년·여성·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도하고, 산업별 맞춤형 인력 양성과 유연한 고용정책을 도입해야 한다.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노동력 부족 문제는 국가 경제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